28026
Переводчик Красантович Мария Владиславовна
788Свободен
Дата регистрации: 2 декабря, 2020 г.
Россия, Москва
Женский
Специализации:
Письменные переводы (Деловая и личная переписка,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Договоры и контракты, Бизнес и финансы, Еда и напитки, Искусство / литература, Кулинария, Поэзия и литература, Реклама, Социология, Туризм)
Стаж работы:
3 года
Родной язык:
Русский
Иностранные языки:
Английский
Корейский
Фрилансер
Программы:
Smartcat
Образование:
ИСАА при МГУ им. Ломоносова
Степень: Магистр
Специальность: историк-кореевед
Возраст:
30 лет
О себе:
Ответственно подхожу к любому вопросу, перед сдачей работы тщательно все проверяю.
Являюсь одним из составителей Корейско-русского русско-корейского словаря 2019 года издания.
Ассистент Управляющего зданием в ЧООО Лотте Еуроп Инвестмент Б.В. с 2018 по 2019 год
- перевод официальных писем собственников здания, запросов от арендаторов и другой документации на английский и корейский языки - работа с объемным документооборотом - деловая переписка
Специалист по работе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партнерами в ООО Вербус с 2019 по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 деловая переписка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партнерами - встреча и сопровождение иностранных партнеров - поиск новых иностранных партнеров, установка деловых отношений - логистика: контроль движ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с сырьем - оформление заказов на закупку запчастей и сырья - работа с документооборотом
Образцы переводов
윗니 없는 소
소는 윗앞니가 없다. 소뿐 아니라 낙타, 염소, 양과 같이 먹이를 새김질하는 동물은 모두 윗턱앞니가 없다.
사무실에 걸린 달력에는 이중섭 화백이 그린 황소 한 마리가 있다. 호암미술관에 보관하고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이 그림을 보면 식민치하 극악스런 질곡 속에서 응어리진 한을 가슴에 품고 그 고통을 이 화폭 가득히 옮겨다 놓은 한 천재화가의 숨결이 느껴진다.
소는 군드레를 풀고 허어연 앞니를 들어내 보이면서 당당한 모습으로 고개를 치켜올리며 거센 숨을 토해내고 있다. 억세고 씩씩하며 사나운, 가히 경외로운 모습이다. 이 그림을 보고 있던 나는 지나가는 말로, “이 소는 이빨이 다 있네?” 하였다.
이때 옆좌석에 있는 직원이 이 말을 들었는지, “아니! 이빨 없는 소도 있습니까? 병신 소나 없겠지요!”
혹 내가 어찌 되거나 한 것처럼 물끄러미 쳐다보기까지 한다.
“그게 아니라, 소는 원래 앞니가 없다네.”
나는 변명이라도 하듯 설명조로 말하였더니, “이가 없으면 음식을 어떻게 씹어 먹습니까. 소가 늘 음식을 되새김한다고 하는데 이가 없으면 되새김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잘못 아신 것 아닙니까?”
그는 내 머리가 돈 것 아니냐는 듯 걱정스레 제머리 위로 손을 빙빙 돌린다. 이렇게 말이 오고가는 사이에 주위 사람들도 한마디씩 거들기 시작한다. 늙어서 이빨이 빠져버렸거나,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이빨 없는 동물이 어디 있느냐고도 했다.
또 무슨 농담을 하려고 그런 터무니없는 말을 시작하느냐는 말에 발끈 오기가 동한 나는 주위 사람들이 너무 우기니까 그냥 넘어가기는 싫었다. 우선 수의사에게 물어 보기로 했다. 그래서 전화번호부를 뒤져서 각기 수의사에게 전화를 걸어본다.
“여보세요! XXX동물병원입니까? 미안합니다만 한가지 물어봐도 되겠습니까? 소는 윗앞니가 있습니까? 있어요? 아, 그래요! 감사합니다.”
“여보세요! 젖소목장입니까? 미안합니다만 소는 윗앞니가 있습니까? 예? 있지요! 그렇지요, 고맙습니다.”
소는 윗앞니가 없다. 소뿐 아니라 낙타, 염소, 양과 같이 먹이를 새김질하는 동물은 모두 윗턱앞니가 없다.
사무실에 걸린 달력에는 이중섭 화백이 그린 황소 한 마리가 있다. 호암미술관에 보관하고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이 그림을 보면 식민치하 극악스런 질곡 속에서 응어리진 한을 가슴에 품고 그 고통을 이 화폭 가득히 옮겨다 놓은 한 천재화가의 숨결이 느껴진다.
소는 군드레를 풀고 허어연 앞니를 들어내 보이면서 당당한 모습으로 고개를 치켜올리며 거센 숨을 토해내고 있다. 억세고 씩씩하며 사나운, 가히 경외로운 모습이다. 이 그림을 보고 있던 나는 지나가는 말로, “이 소는 이빨이 다 있네?” 하였다.
이때 옆좌석에 있는 직원이 이 말을 들었는지, “아니! 이빨 없는 소도 있습니까? 병신 소나 없겠지요!”
혹 내가 어찌 되거나 한 것처럼 물끄러미 쳐다보기까지 한다.
“그게 아니라, 소는 원래 앞니가 없다네.”
나는 변명이라도 하듯 설명조로 말하였더니, “이가 없으면 음식을 어떻게 씹어 먹습니까. 소가 늘 음식을 되새김한다고 하는데 이가 없으면 되새김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잘못 아신 것 아닙니까?”
그는 내 머리가 돈 것 아니냐는 듯 걱정스레 제머리 위로 손을 빙빙 돌린다. 이렇게 말이 오고가는 사이에 주위 사람들도 한마디씩 거들기 시작한다. 늙어서 이빨이 빠져버렸거나,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이빨 없는 동물이 어디 있느냐고도 했다.
또 무슨 농담을 하려고 그런 터무니없는 말을 시작하느냐는 말에 발끈 오기가 동한 나는 주위 사람들이 너무 우기니까 그냥 넘어가기는 싫었다. 우선 수의사에게 물어 보기로 했다. 그래서 전화번호부를 뒤져서 각기 수의사에게 전화를 걸어본다.
“여보세요! XXX동물병원입니까? 미안합니다만 한가지 물어봐도 되겠습니까? 소는 윗앞니가 있습니까? 있어요? 아, 그래요! 감사합니다.”
“여보세요! 젖소목장입니까? 미안합니다만 소는 윗앞니가 있습니까? 예? 있지요! 그렇지요, 고맙습니다.”
У коровы нет верхних зубов
У коров нет зубов н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Помимо коров, верхними зубами не обладают также верблюды, козлы, овцы и другие жвачные животные.
У нас в кабинете висит календарь, на котором изображена картина художника по имени Ли ЧжунСоп - "Желтая корова". Смысл данной картины можно понять, ознакомившись с ее оригиналом, который хранится в музее искусств Хо-Ам.
Посмотрев на нее, на сердце становится тяжело от невероятной грусти, которую испытываешь, осознавая весь ужас оков колониального периода истории Кореи. Оттого, как гениальный художник смог в полной мере перенести на холст всю боль и страдания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захватывает дух.
На картине корова с уверенным видом и гордо поднятой головой тяжело вздыхает, обнажая свои верхние зубы. Безусловно очень сильный и свирепый, вызывающий уважение образ. Увидев эту картину на календаре, я произнес: "Хм... у этой коровы имеются все зубы?"
Видимо, услышав мои слова, соседствующий со мной сотрудник произнес: "А что? Есть коровы без зубов? Разве что только больные коровы!"
Тут я отчего-то безучастно взглянул на него и сказал следующее.
"Не в том суть, у коров в принципе нет верхних зубов".
Хоть я и попытался объяснить, ответом мне было: "Если у коров нет зубов, то как они пережевывают еду? Вообще-то корова является жвачным животным, как же она жует без зубов? Ты уверен, что не ошибся?"
Он беспокойно покрутил рукой у головы, будто у меня с ней проблемы. Услышав наш разговор, некоторые сотрудники также захотели вставить свое слово. Одни утверждали, что у старых животных попросту выпадают все зубы, а некоторые задавались вопросом: если мыслить здраво, разве может быть животное без зубов?
Я рассердился на разговоры назойливых людей о том, что у моего утверждения нет разумных оснований, о том, что я просто решил пошутить, и мне захотелось просто уйти. В первую очередь я решил уточнить этот вопрос у ветеринара. Открыв телефонный справочник, я стал набирать одного за другим ветеринаров.
"Алло! Это ветеринарная клиника ХХХ? Прошу прощения, но могу я задать один вопрос? У коров есть зубы н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Есть? А, вот оно как! Спасибо."
"Алло! Это скотоводческая ферма? Я прошу прощения, но не могли бы вы мне сказать, у коровы имеются верхние зубы? Что? Конечно есть! Понятно, спасибо."
У коров нет зубов н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Помимо коров, верхними зубами не обладают также верблюды, козлы, овцы и другие жвачные животные.
У нас в кабинете висит календарь, на котором изображена картина художника по имени Ли ЧжунСоп - "Желтая корова". Смысл данной картины можно понять, ознакомившись с ее оригиналом, который хранится в музее искусств Хо-Ам.
Посмотрев на нее, на сердце становится тяжело от невероятной грусти, которую испытываешь, осознавая весь ужас оков колониального периода истории Кореи. Оттого, как гениальный художник смог в полной мере перенести на холст всю боль и страдания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захватывает дух.
На картине корова с уверенным видом и гордо поднятой головой тяжело вздыхает, обнажая свои верхние зубы. Безусловно очень сильный и свирепый, вызывающий уважение образ. Увидев эту картину на календаре, я произнес: "Хм... у этой коровы имеются все зубы?"
Видимо, услышав мои слова, соседствующий со мной сотрудник произнес: "А что? Есть коровы без зубов? Разве что только больные коровы!"
Тут я отчего-то безучастно взглянул на него и сказал следующее.
"Не в том суть, у коров в принципе нет верхних зубов".
Хоть я и попытался объяснить, ответом мне было: "Если у коров нет зубов, то как они пережевывают еду? Вообще-то корова является жвачным животным, как же она жует без зубов? Ты уверен, что не ошибся?"
Он беспокойно покрутил рукой у головы, будто у меня с ней проблемы. Услышав наш разговор, некоторые сотрудники также захотели вставить свое слово. Одни утверждали, что у старых животных попросту выпадают все зубы, а некоторые задавались вопросом: если мыслить здраво, разве может быть животное без зубов?
Я рассердился на разговоры назойливых людей о том, что у моего утверждения нет разумных оснований, о том, что я просто решил пошутить, и мне захотелось просто уйти. В первую очередь я решил уточнить этот вопрос у ветеринара. Открыв телефонный справочник, я стал набирать одного за другим ветеринаров.
"Алло! Это ветеринарная клиника ХХХ? Прошу прощения, но могу я задать один вопрос? У коров есть зубы н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Есть? А, вот оно как! Спасибо."
"Алло! Это скотоводческая ферма? Я прошу прощения, но не могли бы вы мне сказать, у коровы имеются верхние зубы? Что? Конечно есть! Понятно, спасибо."
한유(768~842년)는 하남 孟縣사람으로서 자를 퇴지(退之)라고 불렀다. 세 살에 부모를 여읜 그를 형수 정씨가 길렀다. 어려서부터 배움에 열중한 그는 25살에 진사 급제하고 변주관찰추관, 4문박사, 감찰어사 등 벼슬을 하였다.
정원 19년 그가 감찰어사로 있을 때 조정의 그릇된 정사를 견책하면서 한재가 든 관중(섬서) 지방의 백성들에게 부역과 부세를 면제해줄 것을 상주한 까닭에 양산령으로 강직되었다. 원화 12년에는 배도를 따라 회서의 오원제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형부시랑으로 승직되었다. 2년 후에 불사리를 맞아들이지 못하도록 간하는 바람에 헌종의 노염을 사게 되어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하다가 배도의 주선으로 구원되어 조주 자사로 강직되었다. 목종이 즉위하자 다시 내직으로 옮겨져 병부시랑, 이부시랑으로 있다가 57세에 세상을 떴다. 그의 저작으로는 40권이 있다.
한유는 유학을 숭상하고 유교 도통의 계승자로 자처하였지만 순수한 유교가는 아니었다. 그의 정치 사상과 세계관은 상당히 복잡하였다. 그는 환관들의 전횡을 반대하고번진들의 할거를 반대하였으며 당 왕조의 통일을 수호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왕숙문 영정의 개혁을 찬성하지 않았다.
그는 유교의 인정을 제창하고 관리들이 백성들의 재물을 쓸어가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봉건지배 계급들의 죄악을 폭로, 비판하였다. 그는 나라의 운명에 관심을 갖고 인민의 질고를 동정하였지만 인민에 대한 유교의 진압설을 선전하였다.
그는 유교의 도통을 수호하였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문제를 관찰할 때는 유교 도통의 테두리를 벗어났다.
정원 19년 그가 감찰어사로 있을 때 조정의 그릇된 정사를 견책하면서 한재가 든 관중(섬서) 지방의 백성들에게 부역과 부세를 면제해줄 것을 상주한 까닭에 양산령으로 강직되었다. 원화 12년에는 배도를 따라 회서의 오원제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형부시랑으로 승직되었다. 2년 후에 불사리를 맞아들이지 못하도록 간하는 바람에 헌종의 노염을 사게 되어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하다가 배도의 주선으로 구원되어 조주 자사로 강직되었다. 목종이 즉위하자 다시 내직으로 옮겨져 병부시랑, 이부시랑으로 있다가 57세에 세상을 떴다. 그의 저작으로는 40권이 있다.
한유는 유학을 숭상하고 유교 도통의 계승자로 자처하였지만 순수한 유교가는 아니었다. 그의 정치 사상과 세계관은 상당히 복잡하였다. 그는 환관들의 전횡을 반대하고번진들의 할거를 반대하였으며 당 왕조의 통일을 수호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왕숙문 영정의 개혁을 찬성하지 않았다.
그는 유교의 인정을 제창하고 관리들이 백성들의 재물을 쓸어가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봉건지배 계급들의 죄악을 폭로, 비판하였다. 그는 나라의 운명에 관심을 갖고 인민의 질고를 동정하였지만 인민에 대한 유교의 진압설을 선전하였다.
그는 유교의 도통을 수호하였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문제를 관찰할 때는 유교 도통의 테두리를 벗어났다.
Han Yu (768-842) was born in Heyang (present Mengzhou), he was also called as Toeji (in ancient times Asian people took name very seriously, so they often did not say it aloud, instead they pronounced "additional name", that they usually got after becoming adult). His parents died when he was three years old, so he was brought up by his aunt Jeong Ssi. From childhood Han Yu was really interested in studying and at the age of 25 he successfully passed the exam and became the master, also he got other ranks, such as Ph.D. in four different fields of science, emergency investigator, secret inspector and others.
In 803 Han Yu as the secret inspector, judging the imperial court policy, spent a lot of time at Gwanjung province (Seomseo) to help living there people suffered from drought by the special decree of mass production, which was designed to free people from bonded labor and taxes. In 817 Han Yu contributed to the suppression of the uprising in Owonje and was promoted to assessor of the department of executive power. However, then he almost lost his life by causing anger of Heon Jong Emperor, because Han Yu refused to accept the Buddhism. He managed to escape and remained faithful to Confucianism. Nevertheless, when Mok Jong Emperor took the throne, Han Yu was appointed to the position of assessor of the military department, as well as to the position of assessor of department, that governed the officers. He died at the age of 57. The "Collection of Mr. Chang Ryeo works" that Han Yu has wrote consists of 40 volumes.
Despite the fact, that he deeply respected Confucianism and was really well-versed follower of Confucianism, Han Yu was not orthodox Confucian. His political ideas and worldview were complicated. He was against the abuse of power in relation to eunuchs, as well as against assigning plots of land to border guards, at the same time, Han Yu was concerned about Tang dynasty unification. However, he did not accept the Wangsungmun reform, related to pictures of deceased.
Han Yu promoted the acceptance of Confucianism, he was against the officials that took away peoples’ property, at the same time, he criticized crimes and violence of ruling feudal lords. Han Yu was interested in fate of the county and sympathized with the suffering of people, but forcedly bended them to Confucianism.
He guarded the truths of Confucianism, but at the same time, while considering real existing problems, he put the Confucianism truths aside.
In 803 Han Yu as the secret inspector, judging the imperial court policy, spent a lot of time at Gwanjung province (Seomseo) to help living there people suffered from drought by the special decree of mass production, which was designed to free people from bonded labor and taxes. In 817 Han Yu contributed to the suppression of the uprising in Owonje and was promoted to assessor of the department of executive power. However, then he almost lost his life by causing anger of Heon Jong Emperor, because Han Yu refused to accept the Buddhism. He managed to escape and remained faithful to Confucianism. Nevertheless, when Mok Jong Emperor took the throne, Han Yu was appointed to the position of assessor of the military department, as well as to the position of assessor of department, that governed the officers. He died at the age of 57. The "Collection of Mr. Chang Ryeo works" that Han Yu has wrote consists of 40 volumes.
Despite the fact, that he deeply respected Confucianism and was really well-versed follower of Confucianism, Han Yu was not orthodox Confucian. His political ideas and worldview were complicated. He was against the abuse of power in relation to eunuchs, as well as against assigning plots of land to border guards, at the same time, Han Yu was concerned about Tang dynasty unification. However, he did not accept the Wangsungmun reform, related to pictures of deceased.
Han Yu promoted the acceptance of Confucianism, he was against the officials that took away peoples’ property, at the same time, he criticized crimes and violence of ruling feudal lords. Han Yu was interested in fate of the county and sympathized with the suffering of people, but forcedly bended them to Confucianism.
He guarded the truths of Confucianism, but at the same time, while considering real existing problems, he put the Confucianism truths aside.
조작, 허위 및 이미지 조작
연구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수집할 때 이미지를 조작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절한 이미지 조작은 학술지들이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부정행위입니다. 물론 이미지 편집이 정당하게 허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술작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특정 부위를 확대하는 경우 등입니다. 학술지들은 연구자들에게 이미지의 인위적인 처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합니다.
표절
학술지들은 연구자들에게 표절에 대한 정의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저작권의 도용 또는 부적절한 사용, 다른 연구자의 연구물에 대한 인용 없이 무단 복사하는 것 등을 표절로 봅니다. 편집자들은 투고된 논문의 표절 여부를 어떻게 스크린 하는지, 연구자들이 표절을 방지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저자들에 대한 지시사항”을 통해 알려 주어야 합니다.
연구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수집할 때 이미지를 조작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절한 이미지 조작은 학술지들이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부정행위입니다. 물론 이미지 편집이 정당하게 허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술작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특정 부위를 확대하는 경우 등입니다. 학술지들은 연구자들에게 이미지의 인위적인 처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합니다.
표절
학술지들은 연구자들에게 표절에 대한 정의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저작권의 도용 또는 부적절한 사용, 다른 연구자의 연구물에 대한 인용 없이 무단 복사하는 것 등을 표절로 봅니다. 편집자들은 투고된 논문의 표절 여부를 어떻게 스크린 하는지, 연구자들이 표절을 방지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저자들에 대한 지시사항”을 통해 알려 주어야 합니다.
Falsification, fake information and image
If investigation is made with images, but used images are fake, the result of investigation could be completely different. So, inappropriate fake image is the illegal act identified by science journals. There are also cases, when image correction (montage) is legally allowed. For example, in case, when specific part of artwork is zoomed to verify its feature. Science journals should provide investigators with the guideline how to work with images.
Plagiarism
Science journals should provide investigators with plagiarism definition and guideline. Such things as illegal and inappropriate use of copyright, as well as copying materials from someone else's research without using citation are considered as plagiarism. The "Set of authorship guidelines" should be helpful in case, when editors are not sure if the is or not the plagiarism in article they received, or in case, when the investigator needs to know what to do to avoid the plagiarism in his work.
If investigation is made with images, but used images are fake, the result of investigation could be completely different. So, inappropriate fake image is the illegal act identified by science journals. There are also cases, when image correction (montage) is legally allowed. For example, in case, when specific part of artwork is zoomed to verify its feature. Science journals should provide investigators with the guideline how to work with images.
Plagiarism
Science journals should provide investigators with plagiarism definition and guideline. Such things as illegal and inappropriate use of copyright, as well as copying materials from someone else's research without using citation are considered as plagiarism. The "Set of authorship guidelines" should be helpful in case, when editors are not sure if the is or not the plagiarism in article they received, or in case, when the investigator needs to know what to do to avoid the plagiarism in his work.
Тарифы
Письменный перевод:
Английский
3-6
USD
/ 1800 знаков
Корейский
6-8
USD
/ 1800 знаков